가정 예배서
앞에서 쉐마교육이 무엇이며 쉐마교육의 목표와 열매 그리고 핵심이 무엇인지를 상고했습니다. 오늘은 쉐마교육의 방법론을 말씀하셨습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해야 귀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1. 명심 교육입니다. 6절
6절에 “오늘 내가 네게 명하는 이 말씀을 너는 마음에 새기고.” 했습니다. 명심(銘心새길명,마음심)은 말씀을 마음에 새겨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마음이 중요합니다. 마음에 생각하는 대로 행동합니다. 그러므로 마음에 무엇을 새겨놓았느냐에 따라 그 방향으로 살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가치관입니다. 쉐마교육은 하나님의 말씀을 가치관으로 삼게 하는 것입니다. 말씀을 마음에 새기기 위해서는 예배와 기도와 성경 공부가 중요합니다. 말씀을 많이 묵상할수록 많이 실천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말씀이 사람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말씀은 삶에 변화와 동력을 제공해 줍니다.
2. 반복 교육입니다. 7上절
7상반절에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 집에 앉았을 때든지 길을 갈 때든지 누워 있을 때든지 일어날 때든지.” 했습니다. 부지런히 가르치라는 말은 계속 가르치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반복(反復돌이킬반,회복할복) 교육입니다. 짐에 있든지 밖에 나가든지 잠을 자든지 깨어 있든지 라고 했습니다. 이는 하루 24시간 내내 말씀을 가르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정에서든 학교에서든 직장에서든 어디서든지 말씀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함께 토론하는 공부를 합니다. 그들은 가정에서나 심지어 도서관에서도 서로 토론하며 말씀을 배웁니다. 그리고 혼자 말씀을 공부할 때에는 몸을 흔들어 가며 집중해서 성경을 읽습니다. 그것이 대단히 효과적인 반복 교육의 방법입니다. 성경을 계속 배우는 가운데 지혜가 생기고 그 지혜가 쌓이는 사람은 삶의 노하우가 생기는 것입니다.
3. 시청각 교육입니다. 7下-9절
7하반절에 “이 말씀을 강론할 것이며 8. 너는 또 그것을 네 손목에 매어 기호를 삼으며 네 미간에 붙여 표로 삼고 9. 또 네 집 문설주와 바깥 문에 기록할지니라.” 했습니다. 시청각(視聽覺볼시,들을청,새길각) 교육이란 다양한 방법으로 새기는 교육을 말합니다. 강론은 귀로 듣는 것입니다. 기호와 표는 눈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것을 유대인들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여 검은 가죽 띠에 말씀을 적어 팔에 감고 다닙니다. 이것을 테필린이라고 합니다. 또 이마에 율법을 쓴 상자를 메고 다닙니다. 이것을 메주자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그만큼 말씀을 눈으로도 보므로 새겨야 한다는 강조법입니다. 그리고 문설주와 바깥문에 기록하라고 했습니다. 집을 드나들며 말씀을 보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들며 나며 입을 맞춥니다. 귀와 눈과 입으로 말씀을 마음에 깊이 간직하도록 힘쓰라는 것입니다.
쉐마 교육을 통해 마음에 변화가 되어 생명력이 넘치고, 하나님이 동행해 주시고 책임져 주시므로 신앙의 전문가가 되시기를 주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느낀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695번길 12
전화
031 - 975 - 2259
팩스
031 - 975 - 1369